주의사항
- JAVA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습니다.
- 백준에서 코드를 작성하였을 때 아래 형태에서 Main에서 결과가 출력되어야 합니다.
public class Main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{
}
}
문제 설명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jDw8g/btrDV4KgHq6/Ufd9wCpVDQFSB5moeaBM71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HL4ZF/btrDU3evTgj/HPbeLXz1wB1900xX6ruQcK/img.png)
접근 방법
유니온 파인드
상호 배타적으로 이루어진 집합을 효율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만들어진 자료구조
Union : 집합끼리 합치는 연산
Find : 집합의 원소가 어디에 속해있는지 확인하는 연산
Union Find - 나무위키
Disjoint Set에서는 트리를 특이한 용도로 사용하는데, 트리의 구조 자체가 의미를 가지는 경우가 많은 반면 Disjoint Set에서는 트리의 구조와는 상관 없이 단 하나의 최상위 노드에만 관심을 가진다.
namu.wiki
이 문제에 핵심은
1. 1~N까지 도시번호가 주어집니다.
2. 도시가 연결된 것은 양방향입니다.
3. 1은 연결된 것이고 0은 연결되지 않은 것입니다.
4. 입력되는 여행 계획으로 이동할 수 있으면 YES, 없으면 NO를 결과로 출력합니다.
예제입력1에서 유니온파인드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보여드리겠습니다.
※저는 합집합을 진행할 때 집합의 루트 노드가 더 작은 곳을 루트 노드로 하였습니다.
빨간색 : 해당 원소의 루트 노드
1 | 2 | 3 |
1 | 2 | 3 |
입력값 : 0 1 0
해석 : 도시 1에서 도시 2로 방문 가능
1 | 2 | 3 |
1 | 1 | 3 |
도시 1과 도시 2의 루트 노드를 비교하여 더 작은 루트 노드로 통합합니다.
입력값 : 1 0 1
해석 : 도시 2에서 도시1, 3으로 방문 가능
1 | 2 | 3 |
1 | 1 | 1 |
도시 2에서 도시 1, 3의 루트 노드를 비교하여 더 작은 루트 노드로 통합합니다.
입력값 : 0 1 0
해석 : 도시 3에서 도시 2으로 방문 가능
1 | 2 | 3 |
1 | 1 | 1 |
도시 3와 도시 2의 루트 노드를 비교하여 더 작은 루트 노드로 통합합니다.
해석 : 도시1 -> 도시2 -> 도시3
1 | 2 | 3 |
1 | 1 | 1 |
도시1 -> 도시2의 루트 노드를 비교하면 같기 때문에 이동 가능
도시2 -> 도시3의 루트 노드를 비교하면 같기 때문에 이동 가능
도시1 -> 도시2 -> 도시3순으로 여행 가능
출력 : YES
- BufferedReader를 사용하여 입력 값을 저장하였습니다.
- StringTokenizer를 사용하여 n,m과 명령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합니다.
- 도시에 입력값에 따라 union함수를 실행하였습니다.
- BufferedWriter에 여행계획으로 isCheck의 따라 결과를 저장하였습니다.
- BufferedWriter에 저장된 결과값을 출력하였습니다.
- find는 재귀탐색을 이용하여 루트 노드의 값을 찾는 함수입니다.
- union은 두 집합의 루트 노드의 값을 얻어서 더 작은 값으로 통합하는 함수입니다.
- isCheck은 두 집합의 루트 노드의 값이 같은지 확인하여 교집하는지 확인하는 함수입니다.
결과 코드
import java.io.*;
import java.util.*;
public class Main {
static int N,M;
static int[] node; //도시의 루트 노드 저장하는 배열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throws IOException {
BufferedReader br = new BufferedReader(new InputStreamReader(System.in));
//입력값 처리하는 BufferedReader
BufferedWriter bw = new BufferedWriter(new OutputStreamWriter(System.out));
//결과값 출력하는 BufferedWriter
StringTokenizer st;
N = Integer.parseInt(br.readLine());
M = Integer.parseInt(br.readLine());
node = new int[N+1];
//1~n번의 도시 루트 노드 초기화
for(int i=1;i<=N;i++)
node[i] = i;
//입력되는 도시 방문
for(int i=1;i<=N;i++) {
st = new StringTokenizer(br.readLine()," ");
for(int j=1;j<=N;j++) {
int temp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
if(temp==1) //합집합
union(i,j);
}
}
//방문 계획에 맞게 이동 가능한지 확인
st = new StringTokenizer(br.readLine()," ");
int a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
for(int i=1;i<M;i++) {
int b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
if(!isCheck(a, b)) { //이동 불가능
bw.write("NO");
break;
}
if(i==M-1) //이동 가능
bw.write("YES");
}
bw.flush(); //결과 출력
bw.close();
br.close();
}
//루트 노드 찾는 함수
static int find(int n) {
if(n==node[n])
return n;
return node[n] = find(node[n]);
}
//루트 노드를 비교하여 작은 값을 기준으로 변경하는 함수
static void union(int a, int b) {
int x = find(a);
int y = find(b);
if(x!=y) {
if(x>y)
node[x] = y;
else
node[y] = x;
}
return;
}
//a,b에 대해서 루트노드가 동일한지 확인하는 함수
static boolean isCheck(int a, int b) {
int x = find(a);
int y = find(b);
if(x!=y)
return false;
else
return true;
}
}
'백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백준] 단계별로 풀어보기(단계:30, 유니온 파인드,JAVA)4195번, 친구 네트워크 (0) | 2022.06.05 |
---|---|
[백준] code.plus(브루트포스 - 비트마스크,JAVA)13460번, 구슬 탈출 2 (0) | 2022.06.05 |
[백준] code.plus(브루트포스 - 비트마스크,JAVA)1062번, 가르침 (0) | 2022.06.04 |
[백준] 단계별로 풀어보기(단계:30, 유니온 파인드,JAVA)1717번, 집합의 표현 (0) | 2022.06.03 |
[백준] code.plus(브루트포스 - 순열,JAVA)1339번, 단어 수학 (0) | 2022.06.02 |
댓글